설명
데이터를 암호화하지 않고 전달하면 공격자가 훔쳐볼 가능성이 있습니다.
안전하게 데이터를 주고 받으려면 암호화를 할 필요가 있습니다.
용어
- 평문(Plain text)
- 암호화 되지 않은 데이터
- 암호문(Encrypted text)
- 암호화 한 데이터
- 암호화(Encryption)
- 평문을 암호문으로 변경하는 것
- 복호화(Decryption)
- 암호문을 평문으로 변경하는 것
- 양방향 암호화인 경우만 복호화 가능
- 단방향 암호화인 경우는 복호화 불가능
암호화
- 암호화 방법
- 컴퓨터에서 텍스트, 사진, 음악 등 모든 데이터는 0과 1로 관리됨
- 암호화란 데이터에 어떤 연산을 적용해서 0과 1로 이루어진 숫자를 변경하는 것
- 양방향 암호화
- key 필수
- 복호화 가능한 암호화
- 암호화 예시
- 원본 데이터: 1101 (2진수)
- key: 1100 (2진수)
- 암호화 방식: XOR 연산
- 같으면 0, 다르면 1
- A XOR B = C라면 B XOR C = A
- 즉 A(평문)와 B(key)를 알고 있으면 C(암호문)를 구할 수 있고, B(key)와 C(암호문)를 알고 있으면 A(평문)을 구할 수 있음
- 암호화 결과: 0001 (2진수)
- 복호화 예시
- 암호문: 0001 (2진수)
- key: 1100 (2진수)
- 암호화 방식: XOR 연산
- 복호화 결과: 1101 (2진수)
- 단방향 암호화
- key 필요 없음
- 복호화 불가능
- 주로 hash 기법 사용
'Security > 보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보안 6] 하이브리드(Hybrid) 암호 (2) | 2024.12.01 |
---|---|
[보안 5] 비대칭키(Asymmetric key) 암호 (0) | 2024.12.01 |
[보안 4] 대칭키(Symmetric key) 암호 (0) | 2024.12.01 |
[보안 3] 해시(Hash) (0) | 2024.12.01 |
[보안 1] 보안 (0) | 2024.12.01 |